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시설소개

시설소개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저희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성세재활자립원은 사회복지법인 성재원의 산하기관으로 장애인 복지 증진과 직업재활을 통한 장애인의 자립과 복지 실현이라는 목표 아래 설립된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자 중증장애인생산품생산시설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입니다.

설립 이래 장애를 가진 분들이 사회와 경제 활동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의 능력을 키우며 사회생활에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재활의 거점이 되어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 참여에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이 직면한 어려움과 사회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근로 기회 제공, 소득증진 기여, 경쟁 고용으로의 전이 등 건강한 사회 참여를 지원하는 행복한 일터 만들기를 위해 다양한 교육활동, 재활서비스,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성세재활자립원은 장애인의 고용 창출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할 것을 약속드리며 장애인 복지 증진에 책임을 다하는 기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성세재활자립원 원장

시설현황

  • 법인명
    사회복지법인 성재원
    (이사장 : 윤여웅)
  • 기관명
    성세재활자립원
  • 시설유형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근로사업장)
  • 시설대표
    성병석

연혁

1986 ~

하루하루의 정성이 모여 만들어진
희망과 가능성의 시간들

2025

  • 01월
    원장 성병석 취임

2024

  • 02월
    중증장애인생산품생산시설 재지정

2023

  • 10월
    직접생산확인증명 인증(인쇄물)

    직접생산확인증명 인증(현수막)

2022

  • 11월
    직업재활시설 최우수기관 보건복지부장관상 수상

2016

  • 11월
    출판사 신고

2012

  • 11월
    옥외광고사업 등록

2011

  • 09월
    최초 직접생산확인증명 인증

2009

  • 01월
    최초 중증장애인생산품생산시설 지정

2008

  • 07월
    최초 사회적기업 인증
  • 12월
    인쇄사 신고

1987

  • 05월
    성세재활자립원 설치 허가

1986

  • 10월
    성세재활자립원 설치 인가

조직도

시설장

직책 성명 전화번호 담당업무
원장 성** 042.540.3301 기관 운영 총괄

사무국장

직책 성명 전화번호 담당업무
사무국장 김** 042.540.3302 업무 총괄

총무팀

직책 성명 전화번호 담당업무
팀장 / 직업재활교사(선임) 김** 042.540.3304 직업재활 업무 총괄
사무원 안** 042.540.3300 총무 및 회계
영양사 김** 042.540.3320 영양 및 급식관리
조리원 조** 042.540.3320 조리 및 위생관리
위생원 유** 042.540.3305 환경 및 위생

인쇄팀

직책 성명 전화번호 담당업무
팀장 / 생산및판매관리기사 이** 042.540.3390 인쇄사업 업무 총괄
팀장 / 생산및판매관리기사 윤** 042.540.3303 인쇄, 현수막, 디자인
생산및판매관리기사 민** 042.540.3391 인쇄, 디자인
시설관리기사 송** 042.540.3380 시설물 안전관리

미션과 비전

비전 Vision
장애인 고용 창출로 자립 기반 조성
미션 Mission
장애인의 근로 기회 제공, 소등 증진 기여, 경쟁 고용으로의 전이 모색
장애인의 건강한 사회 참여를 지원하는 행복한 일터 만들기

목표달성 전략

  • 01
    직업능력 개발
    지원
    직업능력의 개발을 지원하고 고용기회와 사회·경제적
    자립 도모
  • 02
    실무중심 직업교육
    현장·실무위주의 직업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직업교육 및
    프로그램 성과 향상
  • 03
    일상·사회성
    훈련 지원
    일상생활훈련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정서적
    안정 도모를 위한 프로그램 지원
  • 04
    지역사회 협력
    구축
    지역사회 다양한 기관과의
    네트워크 협력체계 구축
  • 05
    재활시설 역할
    강화
    직업재활시설로서의
    역할 강화 및 위상 정립